2023년 1월 셋째주 맞벌이 신혼부부 가계부

2023.01.16 ~ 01.22


 

낑깡부부 소개

30대 초반의 동갑내기로, 작년에 결혼한 신혼부부

- 부인: 중소기업 2년차 (이전 직장 포함 6년차)

- 남편: 대기업 4년차

무자녀 무주택자이며, 경기도 아파트에서 거주 중

 

 

낑깡부부의 돈관리 방법

지금 우리 부부의 3개월째 돈관리 방법은, 파트를 정해서 따로 따로 관리하고 있다.

용돈은 부인 35만원, 남편 30만원 이내로 서로 터치하지 않고 알아서 사용 중!

- 부인: 생활비 / 경조사비 / 아파트 관리비 / TV 인터넷 / 각자 통신비, 보험료 / 적금 / +@

- 남편: 대출 원리금 / 신용카드 할부금 (결혼 준비하면서 쓴 돈) / 가스비 / 각자 통신비, 보험료 / +@

 

수입 내역

 

이번주는 부부 월급 들어오는 날! 신랑 회사에서 떡값이 나와서 이번달은 수입이 달달했다.🤍

명절 상여금 통째로 저축하거나 투자했으면 더 좋았겠지만, 양가 부모님께 용돈도 드려야 하고 빠져나가야 할 돈이 있어서 절반만 투자금으로 사용했다. 

 

그리고 나는 백화점 상품권, 페이백 받은 것이 있어서 13만원의 부수입이 발생했다.

이번주부터 체험단도 다시 열심히 하고 있어서 4만5천원 상당의 속눈썹펌을 제공받았다. 이렇게 지출방어 성공!

 

그리고 좌측 사진의 정체는 세뱃돈이다!!

감사하게도 양가에서 세뱃돈을 35만원이나 주셨다❤️👍

 

 

지출 내역

- 기간: 2023.01.16 ~ 2023.01.22

- 일주일 지출 금액: 762,240원

고정지출로 인터넷,TV 요금만 발생하였고, 이외 지출은 발생하지 않았다.

변동지출은 설 연휴가 있어서 명절 동안 발생한 지출이 크다.

부인 용돈 35만원 중 64,940원을 사용했다.

 

 

지출 세부 사항 & 고찰

인터넷, TV요금: 43,830원

매달 고정적으로 발생하는 요금이다. 계약 당시에 사은품으로 현금이랑 상품권을 두둑히 받아서 좋았는데, 생각보다 매달 나가는 유지비가 커서 갈아탈 시기를 고민 중이다. 유플러스 티비 셋톱박스도 처음부터 말썽이었어서 일년 지난 시점 쯤에 바꾸는걸 고려해 봐야할 듯!

 

경조사비: 600,000원

양가 부모님 설날 용돈으로 30만원씩 챙겨드렸다. 용돈만 드리기에는 손이 머쓱해서 과일이나 다과를 구입할까 하다가, 신랑 복지몰에서 견과류 100개 세트 두개 구매하고, 회사에서 들어온 선물세트가 좀 있어서 양가에 두개씩 드렸다. (여보~ 회사 열심히 다녀줘❤️)

 

외식비: 65,100원

설날에 친정식구들이랑 볼링 점수로 치킨내기를 했다. 우리 부부가 꼴등해서 치킨, 맥주값으로 5만5천원 정도 기분 좋게 지출했다. 사실 볼링 값이 더 무서웠는데, 엄마아빠가 이런건 일등이 내야한다며 내주셨다😭

 

 

식재료: 15,490원

사실 엄밀히 따지자면 이번주 식재료 비용도 0원이다.

우리집은 정수기를 설치하지 않아서 2L 생수를 매달 대량 구입해서 마시고 있는데, 생수를 구입할 때가 되어서 구매한 비용이다. 쿠팡에서 2L 생수 30개 묶음을 구매했다.

신랑이 대량 구매해둔 닭가슴살이 우리집 밥상 하드캐리하고, 친정엄마한테 받아온 반찬과 친구의 피클 나눔 덕분에 일주일 식재료 비용 0원 달성!!

 

 

차량유지비: 38,000원

이번주는 명절 때문에 본가에 가느라 주유비가 발생했지만, 자차로 외근 다녀온 덕분에 회사에서 주유대가 지원된다.

매달 15일,30일마다 청구한 주유대가 나오지만, 일단 차량 유지비를 지출로 잡아두었다.

 

 


내 용돈에서의 지출 64,940원은 친구의 생일 선물과 모임 식비로 사용되었다. 이번달은 용돈에서 무난하게 초과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명절에 양가에서 조금씩 반찬이랑 과일을 챙겨 와서 마음이 두둑하다.

신랑이랑 성공해서 양가 부모님께 용돈 팍팍 드릴 수 있는 그날까지 파이팅!!!! 

+ Recent posts